여행을 위한 법률 정보
[숙박·예약 관련]숙소 오버부킹 발생 시 대응 방법
추억 여행
2025. 4. 26. 23:13
반응형
**오버부킹(Overbooking)**은 호텔이 실제 객실 수보다 많은 예약을 받는 상황을 말합니다.
주로 노쇼(No-show, 예약하고 나타나지 않는 손님) 대비 차원에서 이뤄지지만,
소비자 입장에서는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1. 오버부킹 발생 시 호텔의 기본 책임
구분내용
동급 이상의 숙소 제공 | 최소한 동일 수준 또는 더 좋은 숙소로 재배정 |
교통편 지원 | 다른 숙소로 이동 시 교통편 제공 |
추가 비용 보상 | 차액 발생 시 호텔이 부담 |
사전 고지 의무 | 사전에 문제 발생 사실을 고지하고 동의받아야 함 |
2. 한국 소비자 보호 기준
- 계약 이행 불가 시, 대등하거나 그 이상의 조건 제공
- 추가 비용(차액, 교통비 등)은 사업자(호텔) 부담
- 대체 숙소 거부 시 전액 환불 + 추가 손해에 대한 배상 가능
※ 한국소비자원 "소비자분쟁해결기준 - 숙박업" 참고
3. 소비자가 현장에서 해야 할 대처법
- 호텔 프런트에서 대체 숙소 제공 여부 즉시 확인
- 대체 숙소 조건(위치, 등급, 편의시설 등) 꼼꼼히 확인
- 본인이 동의하지 않는 조건이면 환불 요청 가능
- 대화 기록 및 문자, 이메일 등 증거 확보 필수
- OTA(예약 대행사) 이용 시, 고객센터에도 즉시 신고
4.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
- 리뷰를 통해 오버부킹 사례가 많은 숙소는 피하기
- 체크인 시간 준수 (늦은 체크인 시 오버부킹 가능성 증가)
- "Late Check-in 보장" 옵션이 있는지 확인
- 가능하면 직접 호텔에 사전 연락해 예약 확인
5. 가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례
사례 1: 오버부킹으로 동급 호텔 이동
- 상황: A씨는 서울 강남구 4성급 호텔 예약. 체크인 시 오버부킹 통보.
- 조치: 호텔 측이 인근 다른 4성급 호텔 숙박 및 무료 교통편 제공.
- 결과: 추가 비용 없이 문제 해결.
사례 2: 대체 숙소 거부 후 환불 요청
- 상황: B씨는 예약한 5성급 호텔 대신 3성급 호텔로 이동 제안 받음.
- 조치: 대체 숙소 조건 거부 후 전액 환불 요청.
- 결과: OTA를 통해 환불 완료 + 추가 숙박비 일부 배상받음.
사례 3: OTA 고객센터를 통한 문제 해결
- 상황: C씨가 해외 OTA를 통해 예약한 호텔이 오버부킹 발생.
- 조치: OTA 고객센터에 즉시 신고하여 다른 호텔 예약 및 차액 보상 지원받음.
- 결과: 빠른 대처로 불편 최소화.
※ 참고: 이 글에 포함된 사례는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라, 이해를 돕기 위한 가상의 예시입니다. 실제 상황 발생 시 호텔 및 OTA의 규정, 현지 법령에 따라 대응해야 합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