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행을 위한 법률 정보
[숙박·예약 관련]보증금(Deposit) 사전 설명 여부
추억 여행
2025. 4. 26. 23:32
반응형
**보증금(Deposit)**은 호텔, 리조트, 민박 등 숙박업소에서 고객이 체크인 시 객실 이용에 따른 잠재적인 손해(파손, 분실, 추가 서비스 이용 등)에 대비해 임시로 받아두는 금액입니다.
보증금 제도는 합법적이지만, 사전에 명확한 설명 없이 부과하면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1. 기본 규정
항목내용
부과 시기 | 주로 체크인 시, 또는 예약 단계에서 사전 고지 |
반환 시기 | 체크아웃 후 객실 점검 완료 시 즉시 또는 수일 내 반환 |
결제 방식 | 신용카드 사전 승인(Pre-authorization) 또는 현금 보관 |
2. 주요 주의사항
- 사전 고지 필수: 예약 시 또는 체크인 전에 보증금 필요 여부를 반드시 고지해야 함
- 금액 명확화: 부과 금액 및 반환 조건을 구체적으로 안내
- 결제 방법 명시: 카드 승인/현금 보관 여부를 분명히 알릴 것
- 이용 후 반환 의무: 객실 점검 후 손상이 없는 경우, 전액 반환
3. 관련 소비자 보호 기준 (대한민국)
- 전자상거래법 및 표시광고법에 따라, 요금에 포함되지 않는 추가 비용은 사전에 명시해야 함
- 미고지된 보증금 청구 시, 소비자는 환불 요구 가능
- 손해 발생이 없을 경우, 즉시 보증금 반환 원칙
4. 보증금 반환 지연 문제
- 신용카드 선승인(hold) 방식의 경우, 은행 및 카드사 사정으로 반환까지 3~7일 소요될 수 있음
- 체크아웃 시 보증 해제 요청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
5. 가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례
사례 1: 현금 보증금 반환 문제
- 상황: A씨는 서울 시내 호텔 체크인 시 10만 원을 현금으로 보증금 지불했음.
- 조치: 체크아웃 시 객실에 이상이 없어 즉시 전액 반환받음.
- 결과: 사전에 보증금 제도를 안내받아 별 문제 없이 이용 완료.
사례 2: 카드 선승인 해제 지연
- 상황: B씨는 카드로 보증금 20만 원 선승인 걸었으나, 체크아웃 후에도 바로 해제되지 않아 불편을 겪음.
- 조치: 카드사에 문의 후, 5일 후 정상 반환 확인.
- 결과: 선승인 해제는 카드사 시스템에 따라 지연될 수 있음을 인지함.
사례 3: 보증금 안내 미흡 분쟁
- 상황: C씨는 민박(Airbnb) 숙박 중 보증금 제도 안내 없이 예약했으나, 체크아웃 후 청소비 명목으로 일부 보증금 공제됨.
- 조치: 플랫폼 고객센터에 분쟁 제기.
- 결과: 고지 의무 위반으로 일부 환불 결정받음.
※ 참고: 이 글에 포함된 사례는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라, 이해를 돕기 위한 가상의 예시입니다. 실제 보증금 정책은 숙박업소 또는 예약 플랫폼의 공식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